출품작 또는 상품 아이디어 요약 소개
인천 개항장 문화재 야행에 맞는 마스코트 캐릭터가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에 다양한 방법으로 활용이 가능한 캐릭터를 제작하게 되었고, 개항장이라는 주제에 맞게 기관차와 배를 모티프로 한 캐릭터를 만들었다.
출품작 또는 상품 아이디어의 인천 개항장 문화유산 소재 활용 내용(주제성)
우선, 개항장이라는 커다란 주제에 맞는 캐릭터를 만들고 싶었고 다양한 방면으로 활용이 가능하면서도 문화유산과 관련이 깊었으면 하여 ‘인천역사’를 소재로 하여 열차 캐릭터를, ‘일본우선주식회사’를 소재로 하여 배 캐릭터를 만들었다.
출품작의 또는 상품 아이디어의 제작 목적(목적성)
캐릭터이기 때문에 캐릭터를 이용한 굿즈(손수건, 뱃지, 열쇠고리, 핀, 머그컵 등) 뿐 아니라 실제 문화재 야행을 진행하며 스탬프 찍기 행사에서도 활용이 가능하고, 개항장의 문화유산을 소개하는 가이드북에서도 귀여운 캐릭터를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캐릭터 이미지의 응용동작 참고)
이렇게 만들어진 굿즈는 어린아이들(10대) 뿐 아니라, 요즘 귀여운 캐릭터들에 많은 관심이 있는 20대 또한 타겟으로 삼을 수 있을 것이다. 실제로 동일한 캐릭터를 컨셉에 맞게 변형시켜 사용하게 되면 보는 사람들이 해당 건축물이나 장소의 특징을 파악하는 것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출품작 또는 상품 아이디어의 장점 또는 파급력, 기대효과(우수성)
캐릭터는 다른 상품들보다 다양한 곳에 활용이 가능하고, 그만큼 마케팅 효과도 좋다. 마스코트 캐릭터도 귀여운 캐릭터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도 좋고, 사람들의 관심을 끌 수 있을 뿐 아니라 캐릭터 상품 판매 매출에도 큰 관련이 있기 때문에 귀여우면서도
개항장이라는 커다란 주제를 사람들에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였다. 사람들, 특히 10-30대까지는 SNS를 하지 않는 사람을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많은 사람들이
SNS를 하고 있기 때문에 귀여운 캐릭터를 통해 사람들에게 좋은 인식을 심어줄 수 있고, 귀엽고 정이 가는 마스코트 캐릭터가 있다면 SNS를 통한 홍보효과 또한 기대해볼 수 있을 것이다. 실제로 일본 지역 마스코트 캐릭터인 ‘쿠마몬’이 SNS를 통해 일본 뿐 아니라 우리나라에도 널리 퍼져 사랑받는 것처럼 귀여운 캐릭터를 통한 어필은 SNS 홍보 효과에 탁월하다.
타 유사한 영상 또는 상품과의 차별성 및 독창성(창의성, 차별성)
본 캐릭터는 실제 캐릭터의 얼굴이나 발과 같은 몸 자체만으로도 캐릭터의 정체성을 드러낼 수 있기 때문에 입고 있는 옷을 바꾸어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활용도가 굉장히 높고, 사람들이 보통 개항장 하면 떠올리는 열차와 배를 활용하였기 때문에 사람들이 한 눈에 인천 개항장의 캐릭터라는 것을 알아볼 수 있다는 것이 가장 큰 차별성이 아닐까 하는 생각한다. 또한, 캐릭터의 정해진 성별이 없어 성별에 구애받지 않고 캐릭터에게 옷을 입힐 수 있고, 성별 구분을 위한 성별 스테레오 타입의 상징들이 없기 때문에 다양한 사람들에게 더욱 잘 다가갈 수 있을 것이다.